“전세계 분열은 트럼프 탓…금융위기 또 오면 美 대응 못할 것”

30/10/2018

MK News

글로벌 리더들 `미들파워 부상` 한목소리

 

미국과 중국 세력대결로

글로벌 리더십 공백 생겨

한국등 중진국이 역할해야

 

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新세력균형 원동력 될 것

 

일부선 “시스템 갖춘 미국

트럼프 재선 혼란 이겨낼것”

김명수, 윤원섭 기자

지난 26일(현지시간) 모로코 라바트에서 개최된 제11회 세계정책콘퍼런스 `향후 5년간 주요 경제적 도전과제` 세션에서 참가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제프리 프리든 하버드대 교수, 케말 데르비슈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 마커스 놀런드 피터슨연구소 부소장, 사공일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차오이더 상하이개발연구재단(SDRF) 부회장. [윤원섭 기자]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는 극심한 분열의 시대에 진입했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분권화된 세계에서 새로운 균형을 찾는 게 급선무다.”

 

글로벌 오피니언 리더들은 현재 전 세계가 처한 상황을 `분열과 분리의 시대`로 정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미·중 무역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리더십이 약해지자 새로운 대항 세력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미국과 중국, 이른바 G2 중심의 글로벌 지배구조에서 양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부재하자 한국 등 중진국들이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 26일(현지시간) 모로코 라바트 소피텔자르댕 호텔에서 개최된 제11회 세계정책콘퍼런스(World Policy Conference·WPC) 개막식에서 아마두 공 쿨리발리 코트디부아르 총리는 협력의 부재를 현 글로벌 지배구조의 핵심 이슈로 꼽았다. 쿨리발리 총리는 “최근 국가 간 협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테러리즘은 물론 특정 국가와 외국인을 배격하는 배타주의와 고립주의가 확산되는 것을 국제 공조를 통해 막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미셸 아운 레바논 대통령은 “그 어느 때보다 지금만큼 국제 공조 부재로 인한 국가 간 긴장감이 고조된 적이 없었다”며 “레바논은 외교력뿐만 아니라 전방위적 영역에서 글로벌 지배구조 재건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지배구조의 빈 공간은 무엇보다 미국의 리더십 부재에 기인했다는 게 대다수 분석이었다.

 

제프리 프리든 하버드대 교수는 “개방경제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위기 상태에 처했다”고 진단하고 “이 같은 위기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의 리더십 부재가 큰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마이클 풀릴러브 호주 로위연구소 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적인 외교를 하기보다 제로섬 철학에 기반해 이기는 데만 관심이 있다”며 “만일 2008년 같은 금융위기가 발생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과 같은 역량으로는 대응하기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특히 미국이 대중국 관계에서 신냉전 정책을 펼침에 따라 향후 양국 관계가 심각한 충돌 양상으로 전개된다면 엄청난 후폭풍이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티에리 몽브리알 WPC 의장은 “단일 긴축통화로서 달러의 지위가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다”며 “패권국의 영향력을 벗어나 중진국과 같은 새로운 세력이 글로벌 지배구조에서 더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왕지쓰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분열 세력(divisive force)이 됐다”고 진단했다. 왕 원장은 그 증거로 △전 세계적 현상인 포퓰리즘 부상 △독재정권 확산 △국가 간 지정학 주도권 경쟁 심화 등을 꼽았다.

 

글로벌 리더십의 부재는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 문제에서도 여러 문제점을 노정시켰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사공일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은 “미·중 무역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의 리더십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선 자유무역과 금융 안정성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며 “여기에 선진국 중앙은행의 긴축 통화 정책과 맞물려 또 다른 금융위기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 인한 미국의 리더십 부재가 글로벌 지배구조를 약화시키는 요인이지만 결국 미국의 리더십은 트럼프 대통령을 초월해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류진 풍산그룹 회장은 `트럼프 30대30대40 공식`을 소개했다.

즉 트럼프의 말은 30%는 믿고, 30%는 검증해야 하고, 나머지 40%는 믿을 수 없다는 말이었다. 류 회장은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여부와 관계없이 미국 시스템이 트럼프를 능가할 것으로 확신했다.

 

이 같은 글로벌 지배구조의 혼란 속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탈중앙화된 구조에 맞게 새로운 균형을 찾아줄 것이라는 기대가 많았다. 케말 데르비슈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은 탈중앙화된 세계에 걸맞은 경제성장을 가져다줄 것이고, 결국 G2 중심의 지배구조를 벗어나 새로운 세력 균형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라바트(모로코) = 김명수 기자 / 윤원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